"염전노예 뽑았나" 신입 공무원 가족의 분노
작성자 정보
- 작성자 TOYVER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579
본문
공무원 인기가 시들해진 가운데 강원 강릉시청 신규 공무원의 가족이 자녀의 업무 과다를 호소해 주목받고 있다. 최근 강릉시청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사회복지직 신입 공무원인 가족이 XX 충동을 느낀다'는 내용의 민원 글이 올라왔다. 익명의 작성자는 해당 글에서 "취업에 성공해 가족들 모두 기뻐하기도 잠시 몇 달째 매일 평일에는 밤 11시에 퇴근하고, 주말에도 빠짐없이 출근한다"며 "워라밸까지는 아니더라도 이 정도면 염전 노예 수준이 아니냐"고 비판했다. ![]() 이어 "가족이 업무 과다로 정신적인 압박을 받고 있으니 더 이상 외면할 수 없고, 병원에 데려가 정신과 상담을 받을 예정"이라고 호소했다. 또 작성자는 "업무가 과다하면 줄이거나 직원을 더 뽑아야 하고, 뽑을 여유가 없다면 업무를 줄여야 한다"며 "왜 직원을 혹사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느냐"고 지적했다. 아울러 "신입사원이 매일 야근하고 주말 출근을 하면 일이 조금 부족해도 기운 나게 북돋아 줘야 하는데 직장 상사로 인한 업무 스트레스도 받고 있다"며 "직원들의 환경에 대한 개선과 과도한 업무로 힘들어하는 부분에 대한 조치를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강릉시 측은 "사회복지직 직원에 대한 여러 가지 말 못 했던 고민과 고충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며 "아직은 적응이 필요한 신규 공무원이기에 부서에서 직원에게 관심을 갖고 배려할 수 있도록 안내하겠다"고 했다. 공무원 인기는 옛말…현직 45% "기회 되면 이직" ![]() 한편 한때 100대 1에 달할 정도로 높은 경쟁률을 자랑했던 공무원의 인기는 지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지난 1월 9~11일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시험 원서를 접수한 결과, 5326명 선발에 총 12만1526명이 지원해 22.8: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공무원에 합격하더라도 이직을 꿈꾸는 이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실태조사에서 이직 의사가 있다고 답한 공무원이 33.5%였던 것과 비교하면 이직 의향 비율은 불과 1년 만에 11.7%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특히 젊은층의 공무원 퇴사 행렬은 더욱 거세다. 한국행정연구원은 세미나 발제문에서 "공직의 난이도는 높아지고 사회적 지위는 낮아졌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며 "가장 큰 메리트였던 공무원 연금체계의 개편은 공무원 사기 저하의 한 요인으로 지목된다"고 지적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