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사회이슈
경기도, 청년들 관심순...주거·자산형성·일자리·창업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이버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1,527
본문
[수원=스포츠서울 좌승훈기자]경기도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4월까지 청년(만 19~34세) 도민 1만248명이 참여한 1~2차 여론조사와 1~2차 숙의 토론 결과를 종합해 ‘청년정책 비전 수립 공론화 백서’를 최근 제작했다. 청년들은 주거, 자산형성, 일자리·창업 등 자립 지원정책에 큰 관심을 보였다. 24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기본법 제정 이후 청년 도민의 목소리를 수렴하기 위해 공론화 과정을 추진했다. 공론화 과정은 지난해 12월 1차 여론조사(5000명), 지난 1월 1차 숙의 토론(55명), 3월 2차 여론조사(5000명), 4월 2차 숙의 토론(193명)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공론화 과정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1차 여론조사에서 토론하고 싶은 정책을 묻는 말에 청년들은 주거(38.8%), 취업(27.9%), 자산 형성(14.1%), 창업(6%) 등의 순으로 자립 지원정책을 꼽았다. 문화·여가(3.7%), 건강(3.5%)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런 흐름은 1차 숙의 토론으로도 이어져 관심 정책 분야로 주거(29.1%), 자산 형성(23.6%), 일자리(21.8%) 등이 높게 나타났다. 2차 여론조사서도 상위권은 취업·창업(27.6%), 주거(27.4%), 자산 형성(24.3%) 등의 순을 보였다. 나머지 의견은 청년정책 참여(11.2%), 청년 공간 확대(9.1%) 등이다. 2차 숙의 토론서도 정책 언급량 1위는 일자리·창업(24%)이다. 도는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청년들은 경기도 청년정책의 비전을 ‘내 삶을 바꾸는 경기, 경기청년자립’, 슬로건을 ‘내일을 채우는 청년, 꿈을 그리는 경기’로 각각 선정했다. 이와 함께 도는 5개 분야별 청년들이 원하는 정책 키워드를 정리했다. 분야별로 △참여 분야 ‘청년 스스로의 참여 확대’ △일자리 분야 ‘일자리 측면에서 청년 기회 제공’ △주거 분야 ‘청년의 안정을 지원하는 주거정책’ △자산 분야 ‘청년의 자립과 생활 지원’ △생활 분야 ‘건강한 청년의 삶 기반 조성’ 등이다. 경기도는 청년들이 제시한 경기도 청년정책의 방향과 비전을 바탕으로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해 청년 맞춤형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공론화 백서’는 7월 중으로 시·군과 일반에 배포된다. hoonjs@sportsseoul.com |
관련자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