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내몰리는 발달장애 가정…반복되는 비극의 고리 끊을 수 있을까
작성자 정보
- 작성자 TOYVER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915
본문
![]() [아시아경제 박현주 기자] 극심한 생활고와 돌봄 부담 등 현실의 벽을 넘지 못한 발달장애 가정의 극단적 선택 사례가 늘고 있다. 발달장애가 있는 자녀와 함께 극단 선택을 하는 사례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발달장애 가정에서의 참극은 이뿐만이 아니다.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와 서울장애인부모연대는 최근 숨진 장애가족을 추모하는 분향소를 서울시의회 앞에 차리고, 장애인 탈시설 지원 조례 통과를 촉구하는 농성에 돌입했다. 이날 이형숙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장은 "서울시가 지난해 3월 장애인 탈시설 지원 조례를 제정하겠다고 보도자료까지 발표했다"며 "그 조례가 만약 작년에 제정됐더라면 올해 이렇게 발달장애인이 살해당하지 않아도 됐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 장애인단체들은 돌봄의 책임이 전적으로 가족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비판한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는 발달장애인의 80% 이상이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애인 돌봄 부담을 국가와 지역사회가 함께 짊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지난 29일 국회에서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에게 통합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의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통과됐다. 법안에 등장하는 '최중증 발달장애인'에 대한 정의가 없다는 점과 더불어 개정된 조항이 공포 2년 뒤 시행된다는 점도 장애가정에게 아쉬움으로 남는다. 같은 날 본회의에서는 '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도 통과됐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자살 예방 상담 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 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이다 들어줄 개' 앱,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박현주 기자 phj0325@asiae.co.kr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