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왕따' 트라우마, 우울증 원인 될 수도…"1.8배 더 위험"
작성자 정보
- 작성자 TOYVER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739
본문
![]() [아시아경제 강우석 기자] 어릴 적 집단 따돌림으로 생긴 정신적 외상(트라우마)이 성인이 됐을 때 우울증 등의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홍진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31일 2016년 한국인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에 참여한 18세 이상 성인 4652명(평균 나이 49.8세)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 응답자 중 우울증으로 진단된 216명을 대상으로 어릴적 겪은 트라우마가 무엇인지와 그 트라우마와 우울증 발병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이들이 겪은 트라우마의 유형은 심리적 외상(59명), 정서적 방치(59명), 신체적 외상(54명), 왕따(51명), 성폭력(23명) 등이었고 이중 성인 이후 발병한 우울증과 가장 큰 연관성을 보인 것은 왕따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성인이 되어 우울증을 앓을 확률을 비교했을 때, 왕따를 겪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의 1.84배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신체적 외상, 정서적 방치, 심리적 외상, 성폭력 등 다른 이유로 비롯된 트라우마는 통계적으로 우울증 발병과 유의미한 인과성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연구팀은 트라우마의 종류가 여러개일수록 우울증 발병 위험이 더 커지는 양상이 확인된 만큼, 다른 폭력의 영향력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고도 설명했다. 연구팀은 어릴 적 왕따 경험이 성인이 됐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만큼, 왕따 피해 예방과 발생 즉시 대처를 강조했다. 전홍진 교수는 "어릴 적 왕따 경험은 쉽사리 잊히지도 않을뿐더러 심한 경우 평생 따라다니며 괴롭힐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며 "피해 자체를 예방하는 게 가장 중요하지만, 일단 피해가 발생하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만 후유증을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우석 기자 beedolll97@asiae.co.kr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