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오후 10시. 서울 광진구 화양지구대 앞을 백인 여성이 서성였다. 지구대를 힐끔거리며 1시간 가량이 흘렀다. 지난해 12월부터 서울의 한 대학교에서 유학 생활 중인 러시아 국적의 소피아 오시보와(20)다.
사연 묻자…“코로나에 아버지 사망”
경찰이 소피아에게 들어오라고 문을 먼저 열어줬다. 하지만 소피아가 골목 쪽으로 달아났다. 광진경찰서 화양지구대 정미영 경사가 그를 쫓아 나갔다. 정 경사가 ‘무슨 일이냐’고 묻자 소피아가 입을 열었다. “한강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지구대 인근을 배회한 소피아의 행동과 한강 위치를 묻는 말을 들은 정 경사는 극단적 선택을 의심했다. 소피아는 경찰에 사연을 털어놓기 시작했다.
소피아는 이날 오후 러시아에 있는 어머니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수화기 건너편 어머니는 “아버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결국 사망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러시아는 일일 확진자가 1만명이 넘고, 5일까지 423만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소피아는 러시아에 입국해도 자가격리를 해야 해 아버지의 장례식에도 참석할 수 없었다.
“할머니도, 동생도 코로나 걸려”
아버지의 사망 소식을 들은 그는 무작정 집을 나왔다고 한다. 소피아는 “순간적으로 너무 큰 충격을 받아서 안 좋은 생각을 했다”며 “러시아에 있는 할머니와 동생도 현재 코로나19에 걸려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어 누구에게도 털어놓을 수도 없었다”고 했다. 이어 “러시아에서 경찰은 아주 무서운 이미지라 차마 경찰서에 들어가지를 못 했다”고 설명했다.
3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에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한 시민들이 거리를 걷고 있다. AFP=연합뉴스
소피아는 현재 코로나19로 입원해 있는 할머니와 어린 시절을 주로 보냈다고 한다. 그의 할머니는 한국에서 태어나 10년 넘게 살았던 러시아인이다. 그 영향으로 소피아도 할머니에게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유학을 꿈꿔왔다.
한국 생활서 어려움·외로움도
소피아는 최근 한국에서 몇 차례 사건을 겪어 힘들었다고도 토로했다. 밤에 길거리를 걷던 중 술을 마신 남성이 접근해 손을 잡으면서 “나와 모텔에 가자. 돈을 주겠다”고 하는 일이 잦았다고 한다. 편의점에서 갑자기 몸에 손을 대는 중년 남성도 있었다. 소피아는 “고등학교 때 아르바이트한 돈을 모아 한국에 왔고, 나는 그런 사람이 아닌데 오해를 받아 화가 난다”면서도 “한국 사람이 모두 나쁘다는 뜻은 아니다”고 했다.
그는 한국에 들어온 지 넉달이 지났지만 코로나19로 학교 수업이 비대면으로 진행돼 친구를 사귈 기회도 거의 없었다. 학교에 가야 다른 유학생이나 한국 학생과의 친분을 쌓을 수 있는데, 기회 자체가 사라진 것이다. 소피아는 “또래 친구가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경찰 언니들과 친구, 정말 고마워”
소피아가 4일 서울 광진경찰서 화양지구대 이다영 순경과 나눈 카카오톡 대화 일부. [소피아 제공]
소피아에게 먼저 말을 걸었던 화양지구대 정미영 경사와 이다영 순경이 친구가 돼주기로 했다고 한다. 그는 지금도 이들과 문자나 카카오톡을 주고받고 있다. 지난 4일엔 세명이 소피아의 집 근처에서 커피를 마시기도 했다. 소피아는 길에서 모르는 사람이 갑자기 몸을 만지거나 손을 잡는 것도 범죄라는 사실을 정 경사에게 듣고서야 알았다고 한다. 이야기하는 내내 그는 “미영 언니와 다영 언니한테 정말로 감사하다”는 말을 수차례 반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