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사회이슈
743평 산뒤 "개집 지으려 했다"…분노 키운 땅투기 해명
작성자 정보
- 작성자 TOYVER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2,321
본문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16일 오후 세종시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예정지인 세종시 연서면 일원에 일명 벌집형태의 조립식 건축물과 묘목이 심겨있는 등 땅투기 의혹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단은 오는 2027년까지 총사업비 1조5000억원이 들어가는 거대 국책사업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시작된 부동산 투기 논란이 지방자치단체, 국방부 등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해명 과정에서 투기 의혹 당사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대답으로 오히려 국민의 분노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세종시 신도시 건설을 책임지는 자리인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이었던 A씨는 재임 기간인 2017년 아내 명의로 세종시 연기면 눌왕리 토지 2455㎡(약 743평)를 매입했다. 눌왕리는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와촌리, 부동리와 맞닿은 곳으로 당시 ㎡당 10만7000원이었던 공시지가는 3년 만에 15만4000원으로 43%가량 올랐다.
이에 대해 A씨는 “세종으로 이사를 오니 마당에서 키우던 개를 둘 곳이 없었다”며 “개를 키울 부지로 토지를 알아보던 중 종중 땅이 싸게 나왔다는 부동산의 권유를 받고 토지를 샀다”고 해명했다. 부인 명의로 땅을 산 것과 관련해서는 “부부니까 당신 명의로 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며 “신도시에 노른자위 땅이 더 많은 것을 아는데 굳이 왜 외곽 지역에 땅을 샀겠느냐”고 반박했다.
이득을 보지 않았기 때문에 오히려 자신이 피해자라는 해명도 나왔다.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5년 경기 부천시 고강동 소재 토지에 대해 투기 의혹을 받자 언론 인터뷰에서 “맹지라서 가격도 별로 안 올랐고, 내가 아주 골치를 앓는 땅이다. 나는 선의의 피해자”라고 말했다.
가족의 일이라 알지 못했다는 해명은 자주 볼 수 있다. 군부대 이전 사업 담당 공무원 B씨의 부인과 딸은 신도시 개발 발표 전 땅 3967㎡(약 4000평)를 사들여 투기 의혹이 일었다. 이에 대해 B씨는 “땅을 살 때는 군부대 이전 계획을 알지 못했다”며 “처형 땅이 도로로 편입돼 건물을 옮겨야 해서 그 뒤에 있는 땅을 아내와 딸이 처형을 대신해 사들인 것”이라고 해명했다.
박영범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배우자의 신도시 인근 ‘쪼개기 매입’ 의혹이 불거지자 농식품부 측은 “박 차관이 청와대 비서관으로 입성하기 전 배우자가 주말농장용으로 매입한 것으로 투기 목적은 없었다”며 “박 차관은 비서관 검증이 이뤄지고 나서야 해당 토지의 존재를 인지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해 17일 현재 198명을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LH 직원뿐 아니라 시‧도의원, 공무원, 공기업 직원, 민간인 등으로 수사 범위가 넓어졌다고 특수본은 설명했다. 또 특수본이 운영하는 경찰 신고센터에 이틀간 182건의 신고가 접수됐는데, 일부 신고는 내용이 구체적이어서 수사로 전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세종시 신도시 건설을 책임지는 자리인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이었던 A씨는 재임 기간인 2017년 아내 명의로 세종시 연기면 눌왕리 토지 2455㎡(약 743평)를 매입했다. 눌왕리는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와촌리, 부동리와 맞닿은 곳으로 당시 ㎡당 10만7000원이었던 공시지가는 3년 만에 15만4000원으로 43%가량 올랐다.
이에 대해 A씨는 “세종으로 이사를 오니 마당에서 키우던 개를 둘 곳이 없었다”며 “개를 키울 부지로 토지를 알아보던 중 종중 땅이 싸게 나왔다는 부동산의 권유를 받고 토지를 샀다”고 해명했다. 부인 명의로 땅을 산 것과 관련해서는 “부부니까 당신 명의로 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며 “신도시에 노른자위 땅이 더 많은 것을 아는데 굳이 왜 외곽 지역에 땅을 샀겠느냐”고 반박했다.
이득을 보지 않았기 때문에 오히려 자신이 피해자라는 해명도 나왔다.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5년 경기 부천시 고강동 소재 토지에 대해 투기 의혹을 받자 언론 인터뷰에서 “맹지라서 가격도 별로 안 올랐고, 내가 아주 골치를 앓는 땅이다. 나는 선의의 피해자”라고 말했다.
가족의 일이라 알지 못했다는 해명은 자주 볼 수 있다. 군부대 이전 사업 담당 공무원 B씨의 부인과 딸은 신도시 개발 발표 전 땅 3967㎡(약 4000평)를 사들여 투기 의혹이 일었다. 이에 대해 B씨는 “땅을 살 때는 군부대 이전 계획을 알지 못했다”며 “처형 땅이 도로로 편입돼 건물을 옮겨야 해서 그 뒤에 있는 땅을 아내와 딸이 처형을 대신해 사들인 것”이라고 해명했다.
박영범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배우자의 신도시 인근 ‘쪼개기 매입’ 의혹이 불거지자 농식품부 측은 “박 차관이 청와대 비서관으로 입성하기 전 배우자가 주말농장용으로 매입한 것으로 투기 목적은 없었다”며 “박 차관은 비서관 검증이 이뤄지고 나서야 해당 토지의 존재를 인지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해 17일 현재 198명을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LH 직원뿐 아니라 시‧도의원, 공무원, 공기업 직원, 민간인 등으로 수사 범위가 넓어졌다고 특수본은 설명했다. 또 특수본이 운영하는 경찰 신고센터에 이틀간 182건의 신고가 접수됐는데, 일부 신고는 내용이 구체적이어서 수사로 전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최다 먹튀검증 No.1] - 토이버
관련자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