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사회이슈
“‘꼬부랑 할머니’는 옛말, 허리 꼿꼿한 바른체형 증가”
작성자 정보
- 작성자 TOYVER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650
본문
한국인 고령인구(70세~84세) 20년 전보다 키 크고 날씬해져 키는 남 2.9㎝, 여 2.7㎝ 증가, 몸무게는 남 5.1㎏, 여 1.0㎏ 증가 국표원, 고령자 대상 인체치수조사 결과 발표 전래동요에서 나오는 ‘꼬부랑 할머니’는 이젠 옛말이 될 듯하다. 우리나라 70∼84세 고령인구가 20년 전에 비해 키가 커지고 날씬해졌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체격이 커진 것 외에도 허리와 등이 곧은 ‘바른체형’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비만도는 증가한 반면, 여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한국인 고령자의 평균 키는 남자 165.7㎝, 여자 152.1㎝, 평균 몸무게는 남자 66.8㎏, 여자 56.7㎏으로 조사됐다. 2003년 이후 지난 20년 사이 고령자의 키는 남자 2.9㎝, 여자 2.7㎝, 몸무게는 남자 5.1㎏, 여자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차원 스캐너로 확인한 인체형상 데이터를 보면, 남녀 고령자 모두 상반신 길이 비율을 나타내는 앉은키 비율(앉은키/키)이 증가하고, 허리가 굽지 않고 바로 선 이른바 ‘바른체형‘ 비율이 83.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소득수준 향상과 꾸준한 자기관리 등으로 인해 전래동요에 등장하는 숙인체형의 할머니·할아버지보다는 허리가 꼿꼿한 바른체형의 노인이 많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어깨가 넓어지고 가슴과 엉덩이 두께가 줄어든 납작한 형태로 변한 것이다. 고령자 전체 측정 대상 3명 중 1명이 비만으로 분류됐다. 남자는 38.3%, 여자는 42.2%로 남자의 비만율이 여자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남자의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꾸준히 증가한 반면, 여자의 평균 체질량지수는 이전 조사 대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표원은 지난 6∼12월 70~84세 1014명을 대상으로 키, 몸무게, 다리·팔 길이, 허리둘레 등 총 360여개 항목에 대해 직접측정 및 3차원 스캐너를 활용해 조사했다. 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의 일환으로 추진된 이번 고령자 조사는 2~3년 내로 다가온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2014년 이후 약 8년 만에 실시됐다. 휠체어 등 고령자를 위한 이동·이송 용품과 부상방지 패드, 교정기 등의 의료·헬스케어 용품 등 고령자에게 적합한 고령친화 제품과 서비스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국표원은 밝혔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5년에 65세 이상 인구비율 20.6%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에 따라 고령화사회(7% 이상), 고령사회(14% 이상) 및 초고령사회(20% 이상)로 분류된다.
오광해 표준정책국장은 “이번 조사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고령화 상황에서 향후 노인들의 편의를 위한 각종 제품 및 서비스 설계에 활용될 수 있는 최신 기초 데이터를 시의적절하게 확보한 것에 그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사이즈코리아 사업이 디지털·헬스케어 등 신산업분야에서의 인체데이터 활용에 대한 다양한 시대적·산업적 요구를 담아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